현대의 산업안전관리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는 단연 **“위험성 평가”**입니다.
이제는 단순히 사고가 나면 대응하는 시대가 아니라,
사고가 나기 전에 위험을 찾아내고 미리 줄이는 체계로 발전했습니다.
1. 위험성 평가의 개념
먼저 정의부터 정리해볼까요?
위험성 평가란, 사업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유해·위험요인을 찾아내고
그 위험이 어느 정도 심각한지를 평가한 뒤,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낮추기 위한 조치를 결정하는 일련의 과정이다.
즉, 쉽게 말하면
👉 “어디가 위험한지 찾고, 그 위험이 얼마나 큰지 판단하고, 줄이는 것.”
2. 위험성 평가의 목적
위험성 평가는 단순히 법적 의무가 아니라,
근로자의 생명과 기업의 지속성을 동시에 지키는 도구입니다.
주요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잠재된 위험요인의 사전 발굴
- 눈에 보이지 않던 위험을 찾아내 예방한다.
- 효율적인 안전관리 우선순위 설정
- 모든 위험을 한꺼번에 없앨 수 없기 때문에,
가장 위험한 작업부터 개선하도록 돕는다.
- 모든 위험을 한꺼번에 없앨 수 없기 때문에,
- 재해 예방 및 손실 최소화
- 사고 발생률과 피해 규모를 줄인다.
- 안전문화 정착
- 근로자 스스로 위험을 인식하고 개선 참여를 유도한다.
3. 위험성 평가의 절차
시험에서 자주 나오는 부분입니다.
기억하기 쉽게 **“찾고 → 판단하고 → 줄인다”**로 외우면 좋습니다.
| ① 유해·위험요인 파악 | 작업별로 어떤 위험이 있는지 조사 | 위험요소 찾기 |
| ② 위험성 결정 | “발생 가능성 × 피해 정도”로 위험성 평가 | 위험도 계산 |
| ③ 위험성 감소대책 수립 | 위험을 줄이기 위한 조치 결정 | 개선·보호 |
| ④ 결과 기록 및 관리 | 평가 결과를 문서화하고 주기적으로 검토 | 기록·개선 |
| ⑤ 사후관리 | 대책 실행 후 효과를 확인하고 보완 | 피드백 |
4. 위험도 계산 방법
위험성 평가는 수치화해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가장 기본적인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험도(R) = 발생 가능성(L) × 피해 정도(S)
예를 들어,
- 발생 가능성(L): 3 (높음)
- 피해 정도(S): 4 (중대재해)
👉 위험도 R = 3 × 4 = 12
이 값이 높을수록 위험성이 크다고 판단하며,
각 사업장은 자체 기준을 정해 **“허용 가능한 수준(acceptable risk)”**을 설정합니다.
5. 위험성 감소 대책의 우선순위 (Hierarchy of Control)
모든 위험을 한 번에 없앨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효과가 큰 순서대로 대책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건 산업안전에서 아주 유명한 5단계 원칙입니다 👇
| 1️⃣ 제거(Elimination) | 위험요인을 완전히 없앤다 | 불필요한 공정 제거 |
| 2️⃣ 대체(Substitution) | 덜 위험한 방법/물질로 바꾼다 | 독성물질 → 무독성물질 |
| 3️⃣ 공학적 제어(Engineering Control) | 장비나 설비를 통한 물리적 통제 | 방호장치, 환기장치 |
| 4️⃣ 관리적 통제(Administrative Control) | 규정, 교육, 작업시간 조정 등 | 안전수칙, 교대근무 |
| 5️⃣ 개인보호구(PPE) | 근로자 개인의 보호 장비 착용 | 헬멧, 장갑, 안전화 등 |
👉 시험에서는 “위험성 감소대책의 우선순위를 올바르게 나열하시오”라는 문제로 자주 출제됩니다.
(정답 순서: 제거 → 대체 → 공학적 → 관리적 → 개인보호구)
6. 위험성 평가의 유형
사업장마다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평가 방법도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 정성적 평가 | 경험이나 판단에 근거하여 위험 수준을 ‘높음·보통·낮음’으로 분류 |
| 정량적 평가 | 수치로 계산하여 위험도를 평가 (예: R = L×S) |
| 혼합형 평가 | 정성적 + 정량적 요소를 함께 사용 |
실제 산업안전보건법에서는 모든 사업장이 정기적으로 위험성 평가를 실시하고, 기록을 보관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7. 정리
위험성 평가는 단순히 시험용 이론이 아니라,
모든 산업현장의 안전관리의 핵심 시스템입니다.
- 위험요인을 찾고,
- 위험도를 평가하고,
- 위험을 줄이고,
- 결과를 기록하는 것.
이 네 가지 과정을 이해하면, 안전관리의 전반적인 흐름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시험에서는 다음 내용이 자주 출제됩니다 👇
✅ 위험성 평가 절차 (순서 문제)
✅ 위험도 계산식 (L×S)
✅ 위험성 감소대책의 우선순위
✅ 평가 목적과 효과
'자격증 > 산업안전관리기사(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안전관리론 ⑤ 재해통계와 재해원인 분석 (0) | 2025.10.24 |
|---|---|
| 산업안전기사 1과목 – 안전관리론 핵심 요약 정리 (1~4편) (0) | 2025.10.20 |
| 안전관리론 ③ 재해의 원인과 예방 (0) | 2025.10.20 |
| 안전관리론 ② 안전관리의 조직과 활동 (0) | 2025.10.19 |
| 산업안전기사 필기 시험, 어디서부터 시작할까? (0) | 2025.10.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