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격증/산업안전관리기사(필기)

산업안전기사 1과목 – 안전관리론 핵심 요약 정리 (1~4편)

by BQ21 2025. 10. 20.
반응형

1편. 안전관리의 기본 개념

구분내용
안전의 정의 인간과 기계, 환경 사이의 위험요인을 제거하여 재해를 방지하는 상태
산업안전보건의 목적 근로자의 생명 보호와 쾌적한 작업환경 조성
안전관리의 3요소 인간(Human) / 기계(Machine) / 환경(Environment)
안전관리의 기본원칙 ① 원인 제거 ② 대체 ③ 격리 ④ 관리적 통제 ⑤ 개인보호구 착용
안전관리의 목표 사고율 0%, 인명·설비 손실 최소화

반응형

 

🏗️ 2편. 안전관리 조직과 체계

구분내용
안전관리 조직의 구성 최고경영자 → 안전관리자 → 현장감독자 → 근로자
경영자의 역할 안전보건 방침 수립, 예산·조직 지원, 안전문화 조성
안전관리자의 역할 위험요인 파악, 점검·교육, 재해조사, 개선계획 수립
현장감독자의 역할 작업지휘, 보호구 착용 점검, 근로자 지도
근로자의 역할 안전수칙 준수, 이상 발견 시 즉시 보고
안전관리의 기본활동 점검 → 교육 → 기록 → 피드백 (PDCA 순환)

⚠️ 3편. 재해의 원인과 예방

구분내용
재해의 정의 작업 중 발생한 신체 손상, 질병, 사망 등
재해의 직접원인 불안전한 행동(Unsafe Act), 불안전한 상태(Unsafe Condition)
재해의 간접원인 관리 결함, 교육 부족, 감독 소홀, 안전문화 부재
하인리히의 도미노 이론 사회환경 → 개인결함 → 불안전행동/상태 → 사고 → 재해
버드의 이론 관리 결함이 근본 원인이며, 조직 책임을 강조
1:29:300 법칙 대형사고 1건 ↔ 경미한 사고 29건 ↔ 아차사고 300건
재해 예방의 원칙 원인제거 / 대체 / 격리 / 관리통제 / 보호구 착용

🧮 4편. 위험성 평가 (Risk Assessment)

구분내용
정의 유해·위험요인을 찾아 위험성을 평가하고, 허용 가능한 수준으로 낮추는 절차
목적 재해 예방, 안전관리 우선순위 결정, 안전문화 정착
절차 ① 위험요인 파악 → ② 위험성 결정 → ③ 대책 수립 → ④ 기록관리 → ⑤ 사후관리
위험도 계산식 R = L × S (L: 발생가능성, S: 피해정도)
위험성 감소대책 우선순위 제거 → 대체 → 공학적 → 관리적 → 보호구
평가유형 정성적 / 정량적 / 혼합형 평가
핵심 키워드 허용 가능한 위험(acceptable risk), PDCA 순환

📑 핵심 암기 포인트 (시험 직전 5분용)

주제핵심 포인트
안전관리 3요소 인간–기계–환경
불안전행동 예시 보호구 미착용, 장난, 지시 불이행
도미노 이론 불안전 행동·상태 제거 → 재해 예방
버드 이론 관리 결함이 근본 원인
1:29:300 법칙 대형사고는 작은 사고의 누적 결과
위험도 계산 R = L × S
위험성 감소 순서 제거 → 대체 → 공학적 → 관리적 → 보호구
평가 절차 파악 → 판단 → 줄이기 → 기록 → 사후관리

💬 마무리

1~4편까지는 안전관리론의 기초 체계입니다.
즉, “안전을 어떻게 관리하고, 사고를 왜 막아야 하며, 위험을 어떻게 평가하는가”를 배우는 파트입니다.

이 부분을 확실히 이해하면, 이후의 재해 통계, 인간공학, 기계안전
모든 과목의 이론이 훨씬 쉽게 연결됩니다.

반응형

댓글